“고수익 해외 취업”의 함정이 드러내는 국제 범죄의 민낯
1. 캄보디아에서 벌어지는 충격적인 ‘취업사기’의 실상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캄보디아 일부 지역(포이펫·바벳·캄폿 보코산) 에 대해 가장 강력한 여행경보 ‘블랙(출국금지)’ 를 발령했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 한국인을 포함한 수많은 외국인들이 “고수익 해외 취업”을 미끼로 현지로 끌려가, 온라인 사기센터에 감금·착취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영국 일간지 The Guardian은 2025년 10월 보도를 통해, 현재 약 60명의 한국인이 현지 당국에 의해 구금되어 있고, 80명 이상은 실종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20~30대 청년층으로, 온라인에서 “원격근무 가능”, “한달 500만 원 보장”과 같은 채용광고를 보고 지원했다가 납치·감금된 사례가 많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들은 현지 도착 즉시 여권을 빼앗기고, **인터넷 사기(가상화폐 투자 유도·로맨스 스캠 등)**에 강제로 동원됩니다.
거부하거나 실적이 낮으면 전기고문, 폭행, 식사 제한 등 심각한 인권침해를 겪는다고 합니다.
한 탈출자는 “중국인 관리자가 금속 파이프로 때리고, 전기 충격기를 사용했다. 기절할 때까지 맞은 적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일부 피해자는 신체 장기 적출 의혹까지 제기돼, 단순한 노동착취 수준을 넘어 국제 인신매매 범죄로 번지고 있습니다.
2. 한국 정부의 긴급 대응과 외교적 움직임
상황이 심각해지자 한국 정부는 비상대책반과 현지 합동조사단을 즉각 파견했습니다.
외교부 2차관 김지나를 단장으로, 법무부·경찰청·국정원 인력이 캄보디아 프놈펜에 급파되어 억류된 한국인 송환 협상과 수사 협조를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일부 피해자들이 범죄조직의 강압으로 불법 행위(사기·해킹)에 가담한 정황이 있어, 귀국 후에도 수사와 사법처리가 불가피하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피해와 가담의 경계가 모호하다”며, 개별 조사 후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국내 채용 플랫폼들과 협력해 ‘해외 취업 사기 필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등 고위험 지역에서 올라오는 구인 공고는 즉시 검증을 거치고, 허위일 경우 차단됩니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해외 범죄 피해자 구조 전담팀’**을 신설해 긴급 연락망과 귀국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외교 문제가 아니라 청년층 안전·노동권 보호의 문제로 번지고 있죠.
3.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가: 구조적 문제와 예방 대책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 피해가 아니라, 국제 온라인 사기 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냅니다.
캄보디아 내 ‘온라인 사기단지’는 최소 20만 명 이상이 종사하는 거대한 불법 산업으로, 중국, 미얀마, 태국, 필리핀 등지에도 확산된 상태입니다.
이들은 SNS·채용사이트·텔레그램 등을 통해 전 세계인을 모집하고, 피해자들을 ‘디지털 감옥’으로 가둬 돈벌이에 이용합니다.
한국인은 디지털 역량이 높고 영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선호 대상이 되었으며, 일부는 중국계 범죄조직의 하부 인력으로 거래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고용 검증 부재 — 해외 채용광고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공공 플랫폼이 미비
2. 경제적 불안정 — 청년층의 일자리 불안이 ‘고수익 제안’에 대한 경계를 낮춤
3. 국제 공조 한계 — 현지 정부의 부패와 사법 인프라 부족으로 범죄조직 단속이 미흡
그렇다면 개인은 어떻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을까요?
• 해외 취업 제안을 받을 때는 회사명·주소·사업자등록증 등 실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SNS DM·텔레그램 제안은 대부분 불법 모집이므로 즉시 차단하세요.
• 대한민국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www.0404.go.kr)를 통해 최신 여행경보를 확인하세요.
• 가족이나 지인에게 여행 일정·숙소·연락처를 사전에 공유해두세요.
‘글로벌 청년’의 이름으로, 안전망이 먼저다
이번 캄보디아 취업사기 사건은 단순한 뉴스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세계화와 디지털 연결이 강화될수록, 범죄 역시 국경을 초월합니다.
“더 나은 일자리”를 꿈꾸는 청년들의 열정이 범죄조직의 먹잇감이 되어버린 현실은 참담합니다.
국가는 해외에 진출하는 국민을 지킬 의무가 있고, 개인은 정보와 경계심으로 스스로를 지킬 책임이 있습니다.
국제사회 또한 이러한 불법 온라인 산업을 방치한다면, 제2·제3의 피해국은 계속해서 생겨날 것입니다.
‘고수익’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당장 눈앞의 기회가 평생의 덫이 되지 않도록, 지금 이 순간에도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